정부가 알약 등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구매를 위해 국내외 제약사들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되면 코로나19 사태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떤 내용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9년 우리나라에는 신종플루라는 독감이 대유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신종플루는 먹는 치료제인 '타미플루'가 개발되면서 안정세에 접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가 주목받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정통령 / 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조정팀장 (어제) : 전에 독감 같은 경우에는 타미플루라고 하는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조금 질병이었던 관리나 유행전파 차단에 많은 도움을 받은 경우가 있고, 그런 측면에서 코로나도 효과적인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이 된다면 유행의 어떤 차단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현재 먹는 코로나 치료제는 MSD, 로슈, 화이자 등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3상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건 MSD사의 '몰루피라비르'인데, 하루 2번 닷새 복용하는 방식으로 올해 말쯤 임상시험 결과가 나올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개발 상황을 보며 선구매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정통령 / 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조정팀장 (어제) : 지금 현재 해외에서는 MSD, 화이자, 로슈, 세 제약회사에서 경구용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으로 알고 있고, 어떤 특정한 가능성을… 가능성은 다 열어놓고 협상에 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요. 아직까지는 어느 정도 수량을 구매할지, 예산이나 이런 여부들을 조금 더 깊이 논의 중에 있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정부가 이렇게 서둘러 대응에 나선 이유는 치료제도 백신처럼 개발이 완료된 뒤에는 살 수 없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경구용 치료제 구매 예산으로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으로 168억 원이 배정됐고, 내년 예산안엔 194억 원이 편성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 국민에게 무료로 보급할 수 있는 금액은 아닌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아직 여러 치료제가 임상 단계에 있는 만큼 얼마나 많은 수량을 구매할지는 논의 중이라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병원에 입원해서 맞아야 하는 주사제 외에 감기약과 같은 먹는 치료제가 개발되면 코로나 사태의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YTN 김보리 (kbr093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91006062519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